**버킷리스트(Bucket List)**와 **더킷리스트(Thuck It List)**는 비슷해 보이지만 개념이 다릅니다.

1. 버킷리스트 (Bucket List)
죽기 전에 꼭 하고 싶은 일들의 목록을 뜻합니다.
‘Kick the bucket(양동이를 걷어차다, 즉 죽다)’에서 유래한 표현입니다.
예:
오로라 보기
세계 일주 여행
나만의 책 출간하기
2. 더킷리스트 (Thuck It List)
‘Thuck it’은 ‘F*** it’에서 나온 말로, 눈치 보지 않고 내 마음대로 하고 싶은 일들을 적는 리스트입니다.
사회적 기대나 책임을 벗어나 내가 진짜 원하는 것을 하는 데 초점을 둡니다.
예:
하기 싫은 인간관계 정리하기
출근길에 커피 한 잔 들고 천천히 걷기
불필요한 회의에서 당당히 빠지기
즉, 버킷리스트는 '인생에서 꼭 해보고 싶은 것'을, 더킷리스트는 '남 신경 안 쓰고 나를 위해 하고 싶은 것'을 기록하는 차이가 있습니다.

1. 버킷리스트(Bucket List) 작성 방법
① 주제별로 정리하기
하고 싶은 일을 더 쉽게 정리하려면 카테고리를 나누어 작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여행: 유럽 일주, 사막에서 캠핑하기
도전: 마라톤 완주, 외국어 마스터하기
자기계발: 책 100권 읽기, 악기 배우기
관계: 부모님과 단둘이 여행 가기, 친구들과 추억 남기기
사회공헌: 봉사활동 참여, 기부하기
② 단기, 중장기 목표 구분
단기(1년 이내): 매일 감사 일기 쓰기, 헌혈하기
중기(1~5년): 새로운 직업 도전, 자격증 취득
장기(5년 이상): 세계 일주, 드림 하우스 마련
③ 실행 계획 추가
단순한 목록이 아니라 실행 계획을 추가하면 실현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예: "스페인 여행 가기 → 매달 여행자금 20만 원 저축하기"

2. 더킷리스트(Thuck It List) 작성 방법
① 하고 싶은 것뿐만 아니라 하고 싶지 않은 것도 적기
남의 눈치 보지 않고 ‘더 이상 하고 싶지 않은 일’을 정리합니다.
예: “원하지 않는 모임 억지로 참석하지 않기”
예: “주말에도 업무 연락 받지 않기”
② 솔직하게 적기
다른 사람의 기대가 아니라 나의 진짜 욕망을 반영해야 합니다.
예: “누군가를 실망시키지 않으려고 ‘예스’ 하지 않기”
예: “하기 싫은 일에 ‘안 해!’라고 말하기”
③ 감정의 변화 기록하기
더킷리스트를 실천하면서 느끼는 감정을 함께 적어보면 자신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예: "퇴근 후 회사 메일 안 보기 → 평온함과 자유를 느낌"

④ 자유로운 형식으로 작성
버킷리스트보다 더 자유롭게 적는 것이 중요합니다.
글뿐만 아니라 그림, 사진, 스티커 등을 활용해도 좋습니다.


버킷리스트는 ‘내가 죽기 전에 꼭 이루고 싶은 꿈’
더킷리스트는 ‘남 신경 안 쓰고 나를 위해 하고 싶은 것’
두 리스트를 함께 활용하면 더 주체적인 삶을 살 수 있습니다!

'Irene Therapy > 회복을 위한 이레네 제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침대에서 잘 일어나기 : 이레네메모리얼가족상담센터 (0) | 2025.01.31 |
---|---|
고민보다 선택! : 이레네메모리얼가족상담센터 (0) | 2025.01.28 |
상상하기 효과 : 이레네메모리얼가족상담센터 (0) | 2025.01.28 |
멍때리기 긍정효과 : 이레네메모리얼가족상담센터 (0) | 2025.01.28 |
혼자하는 산책효과 : 이레네메모리얼가족상담센터 (2) | 2025.01.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