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rene Therapy/이레네자료실

[한국심리학회]세월호_침몰사고에_대한_청소년_반응_Q&A

familycenter 2014. 5. 8. 10:25

<세월호 침몰 사고에 대한 청소년 반응 Q&A>

● 큰 재난이나 갑작스러운 사고를 직접적으로나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될 때
사건 이전의 신체적, 심리적 균형 상태가 일시적으로 깨질 수 있습니다.
다음은 회복과정 안에 보일 수 있는 자연스러운 반응들로 회복 기간은 개인차가 있을 수 있으며
이때 청소년의 회복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학부모/교사의 반응은 다음과 같습니다.

▶ 트라우마 이후 청소년들이 보일 수 있는 일반적인 반응들
· 원하지 않을 때에도 사건과 관련된 생각이나 감정이 불쑥불쑥 떠오를 수 있음.
· 사건과 관련된 것들(대화, 사람, 장소 등)을 피하려고 함.
· 사건 이전에 일상에서 즐거움을 주는 활동들에 대한 흥미가 떨어짐
· 수면곤란
· 주의집중곤란
· 죽음에 대한 책임이 있는 사람에 대한 분노를 느낌
· 강한 신체적 반응(예: 메스꺼움, 피로감, 떨림 등)을 경험
· 강렬한 불편한 감정(예: 슬픔, 분노, 두려움 등)을 느낌
· 자신은 살아있다는 것에 대한 죄책감을 느낌

▶ 도움이 될 수 있는 학부모/교사의 대처 전략
· 트라우마 이후 반응들이 자연스러운 것으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함
· 불편한 감정들에 대해서 지금은 당연히 그런 감정들을 느낄 수 있다는 것을 수용해주고 잘 들어줌
· 필요한 정보를 제공(예: 필요한 것을 제공할 수 있는 기관이나 전문가 정보)
· 도움이 필요할 때는 이야기를 나눌 수 있다는 것을 알림
· 일상생활(예: 수면, 식사, 휴식 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움
· 죄책감을 갖지 않도록 도움

‘이럴 땐 이렇게’ Q&A
(J 도움이 되는 반응/ L 도움이 되지 않는 반응)

Q1. 학교나 버스나 학원은 안전해요?
J A1. “이번 사고 소식을 듣고 보니 걱정이 되는구나. 어떤 게 불안하게 느껴지는지 하나 하나 이야기해볼까”
L A1. “뭘 그런 쓸데없는 생각을 하니, 안전하구 말구!”

Q2. 나도 갑자기 사고를 당할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기도 해요.
J A2. “이번처럼 큰 사고 소식을 접하게 되면 누구나 그런 생각이 들 수도 있어” “나도 사고를 당할 수 있다’는 생각에 불안하게
느끼는구나.”
L A2. “뭘 그렇게까지 생각하고 그러니?”

Q3. 나는 슬프고 힘든데 웃고 떠들고 하는 아이들에게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어요.
J A3. “같은 상황에서도 사람들은 서로 다른 감정을 느낄 수 있어. 또 슬퍼하는 방식은 사람마다 다를 수 있어. 만약 네가 그 자리가 정
힘들면 자리를 잠깐 피하는 것도 방법이야.”
L A3. “걔네들은 상황 파악을 못하나보네. 같이 놀지마!”

Q4. 나는 이제 어느 정도 괜찮은데, 주변 분위기가 슬퍼해야하는 분위기여서 왠지 마음 놓고 재미있는 얘기를 못하겠어요.
J A4. “슬픔을 표현하는 방법도 각자 다를 뿐 아니라 슬픔이 지속되는 기간도 각자 다를 수 있단다.”
L A4. “넌 지금 이 상황에서 재밌는 얘기가 생각나니?”

Q5. 뭔지 모르게 그냥 막 화가 나고 짜증이 나요.
J A5. “나도 어떤 땐 화가 나고 짜증이 나기도 해. 넌 언제 특히 그러니?”
L A5. “너 또 쓸데없는 기사 읽고 그런 거니?“

 

Q6. 어른들말 들으면 뭐해요? 공부는 해서 뭐해요? 어차피 다 죽을 거.
J A6.“어른들도 항상 현명한 판단을 할 수 있는 건 아니야. 그런 경우를 대비해서 네가 스스로 상황을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웠으면
좋겠어.”
L A6. “어른들이 그렇게 못미더우면 네가 훌륭한 어른이 되면 될 것 아니냐!”

Q7. 뉴스에서 봤던 장면이랑 연결되면서 저의 과거에 있었던 사건, 사고들이 불쑥불쑥 떠올라서 괴로워요.
J A7. “예전에 있었던 일들이 갑자기 떠올라서 놀랐겠구나. 그건 자연스러운 반응이고 시간이 지날수록 차츰 가라앉을 거야. 과거의 안
좋은 기억이나 두려운 마음은 함께 이야기하고 나눌수록 흐려진단다.”
L A7. “왜 지난 일들이 새삼스럽게 떠오른데?“

Q8. 이번 일로 힘들어하는 친구들을 보면 어떤 위로의 말을 전해야 하나요?
J A8. “어떨 땐 굳이 말로 표현하지 않아도 함께 슬퍼한다는 것 자체가 위로가 될 수 있단다. 넌 어떻게 위로해주고 싶니?”
L A8. “네가 아는 사람도 아닌데 그럴 필요 있겠니?”

Q9. 친구들끼리 있을 때 사고에 대한 얘기를 하는 것이 좋나요? 안하는 것이 좋나요?
J A9. “친구들과 이런 얘기를 하는 것이 걱정되니? 친구들과 어떤 이야기를 하고 싶니?”
L A9. “그런 얘기는 하지마. 친구들에게 얘기한다고 뭐가 달라지니?”

Q10. 수학여행 못가서 짜증나요. 왜 우리들이 피해를 봐야 되요?
J A10. “기대했던 수학여행이 취소돼 얼마나 아쉽겠니. 하지만 다른 사람들이 슬퍼할 때 이걸 같이 나누는 것도 좋지 않을까.”
L A10.“넌 왜 그렇게 이기적이니? 정말 너희 입장만 생각하는구나!”

 

 

 

[한국심리학회]세월호_침몰사고에_대한_청소년_반응_Q&A.pdf

 

 

[한국심리학회]세월호_침몰사고에_대한_청소년_반응_Q&A.pdf
0.24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