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심리검사가 필요한 경우 : 이레네메모리얼가족상담센터
종합심리검사는 개인의 정서, 인지, 성격, 행동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검사로, 주로 다음과 같은 경우에 필요합니다.
1. 정신 건강 문제 평가
우울, 불안, 스트레스가 심한 경우
감정 기복이 크거나 충동 조절이 어려운 경우
트라우마나 PTSD(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의심되는 경우
반복적인 강박 사고나 강박 행동이 있는 경우
2. 성격 및 대인관계 문제
대인관계에서 반복적인 갈등이 있는 경우
자신의 성격이나 감정 조절에 대해 이해가 필요한 경우
사회적 위축이나 대인관계 회피가 심한 경우
3. 인지 기능 및 학습 평가
기억력 저하, 집중력 부족이 지속되는 경우
학습 장애나 ADHD(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의심되는 경우
사고력이나 문제 해결 능력이 예전과 달라진 경우
4. 진로 및 자아 탐색
자신의 성향과 적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알고 싶은 경우
진로 선택이나 직업 적성을 평가받고 싶은 경우
5. 특정 사건 이후 변화 평가
심각한 스트레스 사건(이혼, 사별, 사고 등) 후 감정 상태가 불안정한 경우
중대한 결정(수술, 전직, 이민 등)을 앞두고 심리 상태를 점검하고 싶은 경우
6. 정신과 진단 및 치료 계획 수립
정신과적 치료(약물치료, 상담치료)를 받기 전 보다 정확한 진단이 필요한 경우
정신과적 치료를 받고 있지만, 증상에 대한 추가 평가가 필요한 경우
종합심리검사 종류
지능검사(WAIS, K-WISC 등)
CAT(종합주의력검사)
BGT(벤더 게슈탈트검사)
HTP(집-나무-사람 그림검사)
KFD(가족그림검사)
Rorschach(로르샤하)
TAT(주제통각검사)
MMPI-A(다면적 인성검사)
TCI(기질 및 성격검사)
CBCL(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
SCT(문장완성검사)
BDI(벡 우울검사)
PAT(양육태도검사)
검사를 받으려면?
종합심리검사는 정신건강의학과 병원, 심리상담센터, 대학병원에서 받을 수 있으며,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나 정신건강임상심리사 등 전문가의 상담 후 적절한 검사가 결정됩니다.